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생리심리학, 행동의 심리학적인 기초는 무엇인가?

by 정지마 2022. 8. 25.
반응형

뇌과학 활용하는법
뇌과학 활용하는법

1. 개념 및 정의

생리심리학(psysiological psychology)은 생리적 과정과 신경 과정에 토대를 두고 심리 현상을 기술하고 설명하려는 심리학입니다. 즉, 유기체의 심리적 현상을 생리학적으로 해석,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행동과 정신 과정을 신경계와 내분비계에 근거하여 이해하려는 분야입니다. 심리학의 실험적 방법에 생리학(physiology)의 방법을 결합하여 이러한 방법을 모든 심리학자의 관심이 되는 문제에 적용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인간의 병리 상태에 관한 생리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런 생리적 메커니즘의 연구는 인간의 심리적 과정에 관한 중요한 사실을 알 수 있게 해주는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생리심리학은 유기체, 뇌의 기능, 신경조직과 행동과의 관련을 이해하는 데 그 강조점을 둡니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신경생리학(neurophysiology), 화학적 생리학, 물리학적 생리학에서 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주요 관심사는 호르몬이 행동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뇌의 각 부위의 기능, 약물효과 등입니다.

2. 역사 및 발전 단계

1) 생리심리학의 기원

17세기 프랑스 철학자이며 수학자인 르네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행동을 통제하는 정신과 뇌의 역할에 관한 그의 생각으로 생리심리학 역사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는 인간의 정신과 순수한 물질적 구노물인 뇌 사이에 어떤 연결이 존재한다고 주장한 최초의 인물이었습니다.

2) 실험 생리학으로의 발전

19세기 독일 생리학자인 요하네스 페터 뮐러(Johannes Peter Muller)는 실험 생리학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사람으로, 생리학에 실험적 기술을 응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특수 신경 에너지설을 주장해 모든 신경이 기본적으로 전기적 충동이라는 동일한 신호를 전달하지만, 여러 가지 다른 신경의 신호를 상이한 방식으로 지각한다는 것을 관찰하였습니다.

3) 실험적 절제의 기원

19세기 프랑스 생리학자인 마리 쟝 피에르 플루랑스(Marie Jean Pierre Flourens)는 동물의 뇌에서 여러 영역을 제거한 후 동물의 행동을 관찰하여 손상된 뇌 영역의 기능을 추론하였습니다. 이 방법을 실험적 절제라 합니다. 프랑스 외과 의사인 폴 피에르 브로카(Pierre Paul Broca)는 실험적 절제 원리를 인간의 뇌에 적용하여 뇌의 특정 영역을 자극하면 신체 반대쪽에 있는 특정 근육이 수축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그 영역을 1차 운동피질이라 불렀습니다.

4) 진화와 자연선택 이론의 정립

찰스 로버트 다윈(Charles Robert Darwin)은 생물학에 일대 혁명을 일으킨 진화와 자연선택의 이론을 정립하였습니다. 그의 이론은 한 유기체의 모든 특징(유기체의 구조, 색깔, 행동)들이 기능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그의 이론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특성을 유용한 기능을 담당한다는 기능주의를 낳게 하였습니다.

3. 접근방법 및 주요 연구영역

생리심리학자는 인간이 아닌 동물을 대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모든 행동적 현상을 연구합니다. 이들은 행동의 생리학적 측면, 즉 행동을 통제함에 있어서 신경계의 역할, 다른 신체 부위 특히,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계와의 상호작용 등을 연구합니다. 자기 인식에 대한 이해인 생리학적 접근, 뇌의 구조나 화학작용의 변화에 따라 의식(consiousness)이 변화합니다. 그러므로 행동과 마찬가지로 의식도 하나의 생리적 기능입니다. 오늘날 뇌과학(brain sicence)의 발전은 곧 뇌를 부분별로 나눈 분리 뇌를 통해 각각이 담당하는 기능들을 밝혀내는 과정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우리 뇌에서 쾌락은 대뇌 측좌핵이 담당하며, 고통은 뇌섬엽, 판단은 전전두엽 피질이 담당한다고 합니다. 그에 관련하여 소비와 관련된 흥미로운 실험도 있습니다. 피실험자에게 상품만 보여주었을 때는 대뇌 측좌핵이 반응하였습니다. 반면에 상품이 아닌 가격표를 보여주었을 때는 뇌섬엽이 반응하였고, 두 가지 모두 한 번에 보여주었을 때는 전전두엽 피질이 반응하였다고 합니다.

3-1 뇌과학의 활용

상품에 대한 기대와 가지고자 하는 욕구가 쾌락을, 가격이라는 비용 지출에 대한 스트레스가 고통을, 그리고 상품과 가격을 두고 소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판단의 중추가 작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뇌과학에 활용한 부분으로는 국내 자동차 회사인 기아의 신형 세단 K7 작명에 잘 나타납니다. 국내외 인사 2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fMRI 실험에서 K7이라는 차명이 세련되고 혁신적이며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으로 분석되어 출시의 결정적 역할을 하였던 것입니다. fMRI는 10억 원을 호가하는 고가의 장비이며 1회 실험 비용은 100만 원 정도의 고비용 실험입니다. 그만큼 뇌과학을 경영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식에 비해 비싼 비용을 지출할 각오를 해야 합니다. 이처럼 생리심리학에서는 그들이 연구하고 있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한데, 과학적인 설명에는 일반화와 환원이 있습니다.

3-2 생리심리학 연구의 과학적 설명

1.일반화: 심리학자들이 이용하며 특정 행동 유형을 자신들의 여러 실험에서 추론한 일반 법칙의 예로서 설명합니다.

2. 환원 : 대부분의 생리학자가 설명하는 입장이며, 복잡한 현상을 보다 단순한 현상을 사용해서 설명합니다.

생리 심리학자는 행동을 생리적 관점에서 탐구하기에 어떤 생리학적 현상이 특정 행동을 유발하는가를 이해하기 이전에 왜 그 특정 행동이 일어나는가를 "심리학적으로" 이해하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생리 심리학자의 연구에는 일반화와 환원의 두 가지 설명 양식이 모두 포함됩니다.

4. 주요 연구주제

생리심리학은 신경과학(neuroscience)이라는 폭넓은 분야에 속해 있는데, 신경과학자들은 신경계의 모든 측면, 즉 신경해부학(neuroanatomy), 신경화학(neurochemistry), 신경생리학, 신경계의 발달과 기능 등에 관심을 갖습니다. 생리학자는 신경과학이라는 더 광범위한 분야의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연구합니다.

반응형

댓글